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11. 11世 〉8. <부정공>통사랑예빈시참봉무송공휘무묘갈명(通仕郎禮賓寺參奉撫松公諱懋墓碣銘)
1. 문헌 목록 〉11. 11世 〉10. <부정공>진사련담공휘이묘갈명(進士蓮潭公諱怡墓碣銘)
1. 문헌 목록 > 11. 11世 >  
9.<부정공>학생공휘무묘지명(學生公諱懋墓誌銘)
學生公諱懋墓誌銘 古桐柏山有隱居行義之士無與爲儔而世莫知賴昌黎之作行晦菴夫子之收入小學書中流芳而不朽焉竊伏惟念我十一代祖考參奉府君養親耕讀庶無愧乎董氏家風然其生也差晩世無朱先生韓文公揄揚信筆噫士之不遇豈止名場利塗而巳耶府君諱懋字德功號撫松亭早承庭訓服習詩禮一味韜晦才行有聞薦除禮賓寺參奉平日所交遊多一世宿德而如安隱峯邦俊金晩德大器兩公最其尤也相資麗澤講磨酬唱娓娓緖餘必多可傳而不幸阨於中年鬱攸毫痕墨跡了無珍蓄此豈非雲仍百世之憾哉我趙氏系出淳昌胄于高麗侍中諱璋三傳而至忠獻公諱元吉號農隱尤顯志同圃牧功存宗社典農寺副正諱瑜短喪之際廬墓盡制入本朝守杜門洞岡僕義累徵不起 諱斯文 贈吏議諱智崙蔭察訪四昆季湛樂有亭扁以相好者是矣此府君高祖以上曾祖諱穩官直長祖諱淑璟忠順衛考諱大春乙巳後隱德不仕與河西玉峯爲友至今漾碧亭前同遊題名之石無恙淵齋先生表其墓妣延安李氏 贈參議繼長女繼妣玄風郭氏若秉節校尉諱大楠暨順天金氏本生也府君生 嘉靖庚戌卒乙卯二月二十五葬弓角山先兆内負甲原配恭人文化柳氏生員認女貞淑有閨範乙卯生壬申歿墓用魯衛禮擧二男長晫宣敎郎次晬宣務郎柳永貞安愼之二女婿也長房孫時聖通德郎以孝旌表女適李元臣次房孫時億通德郎曾玄以下不盡錄而後承稍稍繁昌至六七世而文行不替有泰望有進士崇夏之繼起不食之報其在斯歟今距府君之歿三百餘年墓無顯刻而當此天地飜覆不肖又懼夫陵谷之變易不揆僭妄謹撮家傳言行而書之拱手以俟百世之下來讀者考焉銘曰隱居求志耕讀高風我思古人桐栢山中誰其同德金友安公撫松清操知者天翁 後孫 鍾悳 謹撰 학생공휘무묘지명(學生公諱懋墓誌銘) 옛 동백산(桐柏山)에 숨어 살면서 의를 지킨 선비가 있어 아무도 그와 짝할 수 없었으나 세상에서는 아무도 몰랐었다. 그러다가 창려(昌黎) 한유(韓愈)가 행장을 짓고 회 암(晦菴) 주자(朱子)가 「소학(小學)」 가운데 실으면서부터 전해 내려오면서 이름이 떨 쳐졌다. 생각하건대 나의 十一대조 참봉부군은 농사를 지어 어버이를 봉양하였으니 거 의 동씨(董氏)의 가풍에 부끄럽지 않았다 하겠다. 그러나 부군의 출생이 뒤늦어 세상에는 주자나 한 퇴지처럼 기려줄 만한 분이 없었다. 아! 선비가 때를 만나지 못하는 것이 어찌 명예와 이익에만 그치겠는가? 부군의 휘는 무(懋)요, 자는 덕공(德功), 호는 무송정(撫松亭)인데 어려서부터 가정의 가르침을 받아 시와 예를 읽어 깊이 깨달았다. 재행이 알려져 예빈시 참봉에 제수되었다. 평소 사귄 사람 가운데는 당시의 덕망있는 분이 많았는데 은봉(隱峯) 안방준, 만덕 김대기 두 분이 더욱 뛰어난 분이다. 서로 수양하고 학문을 토론하거나 시를 수창하여 즐겁게 지냈으니 반드시 전하는 문자가 많았을 것인데 불행하게도 중년에 아액운을 만나 모든 문자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그러니 어찌 자손된 사람이 백세토록 탄식할 일이 아니겠는가? 우리 조씨는 순창에서 나왔는데 고려 시중 장을 시조로 하여 四세에 이르러 충헌공 휘 원길은 호가 농은으로 더욱 현달한 분이다. 포은, 목은과 뜻을 함께하여 종묘사직을 지키는데 공을 세웠다. 전농시 부정 휘 유(瑜)는 모두 상기를 단축하여 시행할 때 시묘살이를 하였고, 조선에 들어와서는 두문동에서 절의를 지켰는데 여러 차례 관직으로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휘 사문은 이조참의에 추증되고 휘 지륜은 음보 찰방인데 네 형제가 함께 즐기던 정 자가 있었으니 상호정이 바로 그 정자이다. 이 분들이 바로 고조 이상이다. 증조 휘 온 (穩)은 벼슬이 직장이요 조 휘 숙경(淑璟)은 충순위이며, 고휘 대춘(大春)은 을사사화 이후 덕을 숨기고 벼슬하지 않으면서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옥봉(玉峯) 백광훈 과 친구로 사귀었는데 지금도 양벽정 앞에 함께 놀면서 이름을 써 놓은 바위가 그대로 있고 연재 선생이 고의 묘표를 썼다. 비 연안이씨는 참의에 추증된 계장의 따님이요, 계비 현풍 곽씨이며 병절교위 휘대 남과 순천김씨가 공의 생가 부모이다. 부군은 가정 경술년에 출생하여 을묘년 二월 二十五일 졸하여 궁각산(弓角山) 선영안 갑좌 언덕에 장사하였다. 배 공인(恭人) 문화유 씨는 생원 인(認)의 따님으로 정숙하고 규범이 있었는데 을묘년에 출생하여 임신년에 졸하고 묘는 부장하였다. 二남을 두었는데 맏아들 탁은 선교랑이요, 둘째 수는 선무랑 이며 유영정과 안신지는 두 사위이다. 맏아들에게서 난 손자 시성(時聖)은 통덕랑인데 효도로 정려를 내렸고 손녀는 이원신(李元臣)에게 출가하였다. 둘째 아들에게 낳은 손 자 시억(時億)은 통덕랑이며 이하 증손·현손은 다 기록하지 않는다. 그 후손이 점점 불어나 六, 七세가 되도록 문학과 행실이 끊어지지 않아 태망(泰望)이 있고 진사(進士) 숭하(崇夏)가 계속 이었으니, 음덕이 여기에 있지 않겠는가? 이제 공이 가신지 三백여 년이 되도록 묘에 비석이 없는데 이런 천지의 변화가 심한 때를 당하여 불초 내가 벽해상전의 변이 있을까 염려되었다. 그래서 참람함을 무릅쓰고 삼가 집에 내려오는 언행을 간추려 써서 백세후에 읽을 사람에게 참고하도록 한다. 다음과 같이 명한다. 은거하여 뜻 구하며 隱居求志 주경 야독의 풍모 지녔네. 耕讀高風 내 옛 사람 그리노니 我思古人 동백산의 동씨라네 桐栢山中 누가 그와 덕 같았나 誰其同德 김공과 안공이었네. 金友安公 무송공의 맑은 지조 撫松淸操 아는 이 천옹이네. 知者天翁 후손 종덕(鍾悳) 삼가 지음
 
1. 문헌 목록 〉11. 11世 〉8. <부정공>통사랑예빈시참봉무송공휘무묘갈명(通仕郎禮賓寺參奉撫松公諱懋墓碣銘)
1. 문헌 목록 〉11. 11世 〉10. <부정공>진사련담공휘이묘갈명(進士蓮潭公諱怡墓碣銘)